무차별적 사랑은 사랑을 줄 수 있는 에너지의 고갈을 가져오며, 받는쪽의 나태함을 유발하여 자연은 하향한다. 따라서 생명의 창조적 성장과 진화의 입장에서 볼때는 생명은 역행성이고, 무차별성이 아닌 차별성이다. 차별화의 진행이 다양한 전개이고, 창조이다. 존재들의 무차별적 공통성을 찾아내는 것은 소중하지만, 만물에 대한 무차별적 사랑이란 우주자연의 일부 질서일수 있으나, 전부는 아니다. 한 개체는 모든 것을 사랑할만한 그만큼의 에너지가 없다. 상대성의 어떤 쏠림과 그 역작용은 차별적 불균형에 대한 역차별의 시차적 접근을 통한 삶의 균형적인 리듬인 것이지 그 중간의 무차별적 정지와 고정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무차별적 중간은 새로운 정지의 쏠림이므로 시들해지고 피곤해지는 엔트로피 증가이다. 그때는 새로운 움직임과 변화로의 역행성이 정지에 대한 쏠림의 치유법이 될 것이다. (요가는 차별과 무차별의 균형적 조화와 안정과 불안정의 조화를 가르친다.) 생명의 시작과 진행의 특징은 하나의 세포작용이고 세포막이다. 세포막은 세포내의 특수상황을 어느정도 유지시키는 능력을 갖고있다. 농도가 높은곳에서 농도가 낮은곳으로 흐르는 것이 자연현상인데, 그것에 반대하여 농도가 낮은곳에서 농도가 높은곳으로 물질을 이동시키는 위대한 역행적 능력도 가지고 있는 것이 생명의 기본구조인 세포막이다. 공기나 물이 그리고 햇빛과 냉온이 몸의 피부속으로 자연의 순행적 질서대로 자유롭게 드나들지 못하도록 자연성에 역행하는 능력도 세포막이 가지고 있다. 물론 순행의 능력도 있으나 역행의 능력이 생명력이다. 갈증은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으려하고 보충하려는 일종의 항거이고 몸의 작용이며, 몸의 욕망이 표현됨이다.
환경에 의타적 적응이 아니고, 환경을 자기에게 잘 적용시키는 힘과 자신의 구조적 질서를 회복시키는 역작용이 생명력의 특징이다.(심신이 자연에 순행할 때 생긴 치우침이나, 역행하면서 생긴 심신의 치우침을 발견하여 그 반대적인 조건을 수련시켜 심신을 청결하게 하고, 있어야할 곳에 기관들이 있도록 질서를 회복시키는 노력이 요가수련이다. 심신의 치우침이 발생하는 이유는 인간의 능력이 시차를 두고는 다양한 심신작용이 실현될 수 있으나, 동시적으로 여러곳을 한꺼번에 갈수가 없고, 공간적응의 신체구조도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