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ethoven /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Op.73
1. Allegro / 2. Adagio un poco moto-attacca / 3. Rondo Allegro
Krystian Zimerman / Piano
Leonard Bernstein,Cond / Wiener Philharmoniker

음악출처 : haje.kaist.ac.kr

새는 / 송창식

새는 노래하는 의미도 모르면서 자꾸만 노래를 한다

새는 날아가는 곳도 모르면서 자꾸만 날아간다

먼 옛날 멀어도 아주 먼 옛날 내가 보았던

당신의 초롱한 눈망울을 닮았구나

당신의 닫혀있는 마음을 닮았구나

저기 저기 머나먼 하늘 끝까지 사라져간다

당신도 따라서 사라져간다 멀어져간다

당신의 덧없는 마음도 사라져간다

당신의 덧없는 마음도 사라져간다

'행복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ethoven / Piano Concerto No. 5 (황제)  (0) 2008.02.09
새는  (2) 2008.02.06
가방을 든 여인(La Ragazza Con La Valigia) / Main Theme - Fausto Papetti  (0) 2008.02.06
재회(지니)  (0) 2008.02.05
사계(비발디)  (0) 2008.02.03
La Ragazza con la Valigia(1960) / Fausto Papetti


Directed by: Valerio Zurlini Screenplay : Leonardo Benvenuti Piero De Bernardi Music by: Mario NascimbeneCast: Claudia Cardinale .... Aida Jacques Perrin ....Lorenzo Mainardi Luciana Angiolillo .... Mother Renato Baldini .... Francia Riccardo Garrone .... Romolo Elsa Albani .... Lucia Corrado Pani .... Marcello Mainardi Gian Maria Volonte .... Piero Romolo Valli .... Priest Enzo Garinei Ciccio Barbi .... Crosia (more) Also Known As: La fille a la valise (France) Girl with a Suitcase (USA) Runtime: 111 min Country: Italy / France





PLOT DESCRIPTION

The title character, played by Claudia Cardinale, is a young woman who heads out alone to the big city after being dumped by her lover. She is befriended and protected by her ex-suitor's younger brother Jacques Perrin, who eventually becomes her new romance, despite the difference in ages (Perrin is 16, while Cardinale is ...somewhat older). When Cardinale begins a new relationship with a musician, she tries to let Perrin down easily, but the young man is too headstrong for that. When they finally do part, Perrin gives Cardinale a large sum of money as a farewell gift. Despite the fact that Claudia Cardinale subsists off the kindness of strangers in this film, Girl With a Suitcase (originally La Fille de La Valise in France and La Ragazza Con la Valigia in Italy) treats her character with warmth and sympathy. written by Hal Erickson





La Ragazza con la Valigia-가방을 든여인


이탈리아의 독자적인 로맨티시즘을 추구하는 바렐리 줄리이니 감독 작품. 연상의 여인과 연하의 남자- 농익은 여자와 풋내기 소년과의 사랑과 애환이 모성애를 생각하여 다루듯 세밀하고 서정적으로 펼쳐진다. 여기서는 아기엄마로써 카르디날레의 농익은 자태를 볼 수 있는 영화. '형사'에서처럼 카르디날레의 완벽한 연기가 돋보인다.

급행열차와 나란히 달리던 스포츠카가 멎자 주위를 훑어본 아이다는 황급히 숲으로 달려 들어가고, 차주인인 마르첼로는 트렁크에서 아이다의 가방을 꺼내 팽겨치고 도망가자 아이다는 사내에게 실망을 하며 그의 집 으로 찾아가지만 마르첼로에게 쫓겨 난다. 한창 감수성이 예민한 16세의 로렌조는 갈 곳이 없는 그녀가 가엾어서 인정없는 형을 잊도록 유도 하지만 어느새 여자에 대한 사랑이 움튼다. 로렌조는 그녀를 호화호텔에 묵게하고 좋은 드레스 등을 선물하지만 그녀는 로렌조가 선물한 옷을 입고 남자들과 어울려 술에 취해 노는 것을 보고는 어린 가슴만 태운다.


그녀는 로렌조의 순정을 눈치는 채고 있었지만 모른 척 외면하고 전에 살던 릿쪼오네로 돌아가 호색가인 클럽의 경영자에게 의탁하며 살게 되는데, 화가 난 로렌조가 뒤쫓아 온다. 그리고 경영자에게 달려드나 되려 반 죽음이 되도록 얻어 맞고 반죽음이 되자 아이다가 바다물에 적신 손수건으로 딲아주어 정신을 차리고 일어나게 된다.

달 그림자가 아름다운 바닷가 모래위에서 무릅을 꿇고 열열한 키스와 포옹에 로렌조는 처음 느껴보는 사랑에 몸부림치고 아이다도 그의 순정에 감동되어 생의 활력을 얻게 된다. 그렇지만 아이다는 로렌조의 장래를 위하여 그를 타일러 보낼려고 한다. 로렌조는 두터운 봉투를 아이다에게 쥐어주며 파르마행 막차로 떠난다. 봉투를 열어보니 그 안에는 많은 돈뭉치가 들어 있었다.






by Fausto Papetti(Sax.)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이야기

....... 시칠리아의 진주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영화계에는 수많은 스타들이 탄생하고 또 팬들의 기억 속으로 사라진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도 기억 속에 남아있는 배우들도 있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처럼...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는 1938년 북아프리카의 튀니지에서 출생했다. 철도원인 아버지 '프랑코 카르디날레'와 어머니는 모두 시칠리아 출신이다. 클라우디아의 가정은 유복하지는 않았지만 동생들과 엄격한 아버지 밑에서 착실하게 성장 하였다. 다소 내향적이고 초등학교 선생님이 꿈이었던 클라우디는 내향적인 성격을 고치기 위해 시내 중심부의 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외향적이고 밝은 성격의 소녀로 바뀌게 된다.

1956년 클라우디아는 초등학교 교사가 되는 꿈을 이룬다. 그리고 약 1년 여간을 교사 생활을 하고 있을 때 그녀의 운명을 바꾸어 놓는 일이 생기게 된다. 이탈리아 영화 해외 보급 기관 [우니탈리아 필름]이 주최하는 '이탈리아 영화제'가 튀니지에서 열렸는데 이벤트 행사로 미인 콘테스트를 열었다. 그리고 여기에 클라우디아는 응모하여 예상치도 않은 '미스 튀니지아 콘테스트' 에서 1등을 하여 상금과 함께 스크린 테스트 자격까지 받게 된다. 스크린에 비쳐지는 그녀의 몸매를 보아도 알겠지만 170cm/56kg의 햇볕에 그을은 몸매는 보는 이의 넋을 빼았고도 남는다.

그런 그녀에게 이탈리아 영화계는 데뷔를 종용한다. 하지만 클라우디아는 다소 보수적 이어서 제의를 거절하고 만다. 끈질긴 영화계의 손짓은 계속되고 결국 6개월 여만에 '프랑코 크리스탈' 이라는 제작자의 설득으로 계약을 맺고 영화계에 그녀의 모습을 내보 이게 되고, [형사], [암살지령], [가방을 든 여인]에 출연한 그녀는 불과 2~3년만에 영화의 큰 성공으로 톱스타의 반열에 올라선다. 프랑스의 대 스타 '알랑들롱' '장 폴 벨몬도'와 [젊은이의 전부], [비앙카]등에 출연한 이후 프랑스와 [핑크 표범]으로 헐리웃에 진출하여 그녀의 이름을 세계에 알리게 되었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는 맡은 배역이 결코 화려하지 않았다. 이탈리아최고의 감독 작품 에 출연을 하게 되면서 경력을 쌓았기 때문에 다른 배우들보다는 행복한 연기자였지만 작품 속의 그녀는 항상 마을 한구석 서민의 딸로, 여인네로 등장 하였다. 아마도 그렇기 에 관객들로 하여금 더욱 친밀감을 느끼게 했을 것이다. 그녀에게 최고의 행운을 안겨다 준 그 유명한 [부베의 연인]에서는 '마라'라는 시골 촌 색시로 등장한다. 이 영화에서 '조지 차키리스' 가 저항운동으로 14년형을 선고 받고 복역하게 되자 출옥 할 때까지 기다리겠다고 결심하는 그녀의 모습은 감미로운 멜로디와 함께 한 없이 애처롭고 매력적이다.

그녀도 '소피아 로렌'처럼 이태리 특유의 글래머 배우의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일상 생활 속에 낡은 셔츠에 헐렁한 바지 차림으로 지극히 평범한 서민의 모습을 보여 주면서 애수를 자아내는 그녀의 눈빛.. 바람에 살짝 무릎이 보이는 스커트 자락, 얼굴위로 스카프가 펄럭이며 흐르는 감미로운 멜로디..그리고 '아모레, 아모레 미오'라고 외치는 [형사]에서 그녀의 애처로운 라스트 씬등은 관객들에게 아직도 그 여운이 남아 있지 않을까 ?


옮겨옴(영어&영어)

우리나라에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은 (당시에)얼마 되지 않았겠지만,

그러나 소위, 주제곡이라 불리던 색소폰의 연주음악으로 해서 제목만큼은

상당히 유명하였던 영화이다.

이곡은 “Fausto Papeti"(이태리)의 색소폰 연주와

“Acker Bilk"(1929, 영국/1960년의 TV극,”Stranger On The Shore"의 주제곡이 대표곡)의 클라리넷 연주를 비롯하여

, “Paul Mauriat" 악단의 연주까지 1970년대까지도 우리나라에서 “가방을 든 여인”의 주제곡으로

너무나도 유명하였는데, 그러나 이것은 우리나라 방송인들의 잘못된 오류였다.

빈약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서 한 두 명의 DJ들이 그런 식으로 제목을 말하다보니,

너도 나도 영화는 보지 않은 채 전부 “영화, 가방을 든 여인 의 주제곡” 이라고 소개를 하게 되었고

심지어 당시에 유행처럼 유통되던 해적판(소위, 말하던 “빽판” LP)에도 그렇게 제목이 붙여졌었다. (옮겨온글)


'행복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는  (2) 2008.02.06
알람브라 회상  (0) 2008.02.06
재회(지니)  (0) 2008.02.05
사계(비발디)  (0) 2008.02.03
하모니카 연주  (0) 2008.02.03

얼마나 많은 시간 속에 외로이 홀로 걷고 있었을까
내 어둠 속에 두 손에 눈물만 가득 담은 채로

수많은 내 방황에 그댈 보지 못한 나를 용서해 주오
수많은 내 방황에 어리석었던 나를 용서해 주오 오오오 오오오오
이제는 내가 사랑한다고 그대를 부르게 해 주오
이제는 당신을 영원이라는 말로 그대 곁에 있게 해 주오

힘겨워 내가 쓰러지면 당신은 항상 날 일으켜 주었고
내가 슬퍼지면 당신은 항상 날 감싸주었죠

수많은 내 방황에 그댈 보지 못한 나를 용서해 주오
수많은 내 방황에 어리석었던 나를 용서해 주오 오오오 오오오오
이제는 내가 사랑한다고 그대를 부르게 해 주오
이제는 당신을 영원이라는 말로 그대 곁에 있게 해 주오

언젠가 세상이 당신을 빼앗아 간다 해도
당신을 절대로 포기하지는 않을 거야
이제는 내가 사랑한다고 그대를 부르게 해 주오
이제는 당신을 영원이라는 말로 그대 곁에 있게 해 주오
이제는 내가 사랑한다고 그대를 부르게 해 주오
이제는 당신을 영원이라는 말로 그대 곁에 있게 해 주오





'행복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람브라 회상  (0) 2008.02.06
가방을 든 여인(La Ragazza Con La Valigia) / Main Theme - Fausto Papetti  (0) 2008.02.06
사계(비발디)  (0) 2008.02.03
하모니카 연주  (0) 2008.02.03
루브르박물관 명화  (0) 2008.02.02

Violin / Giuliano Carmignola

Conductor / Andrea Marcon


'행복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방을 든 여인(La Ragazza Con La Valigia) / Main Theme - Fausto Papetti  (0) 2008.02.06
재회(지니)  (0) 2008.02.05
하모니카 연주  (0) 2008.02.03
루브르박물관 명화  (0) 2008.02.02
거위의 꿈  (0) 2008.01.28

'행복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회(지니)  (0) 2008.02.05
사계(비발디)  (0) 2008.02.03
루브르박물관 명화  (0) 2008.02.02
거위의 꿈  (0) 2008.01.28
Mariah Carey/without you  (0) 2008.01.27

루브르박물관 소장 그림들

《마드모아젤 리비에르》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터키 목욕탕》 -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오달리스크》 -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1830년 7월 28일,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 외젠느 들라크르와




《알제리의 여인들》 - 외젠느 들라크르와




《사르다나팔르의 죽음》 - 외젠느 들라크르와





《파이톤을 물리치는 아폴로》 - 외젠느 들라크르와





《미친 여자》 - 테오도르 제리코





《메두사의 뗏목》 - 테오도르 제리코





《단테와 버질 앞에 나타난 파올로와 프란체스카의 혼백》 - 아리 셰페르





《베르탱 씨의 초상》 -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가난한 어부》 - 피에르 퓌비 드 샤반느





《떡갈나무숲》 - 테오도르 루소




《영국 엘리자베스 1세의 죽음》 - 폴 들라로슈





《모르트퐁텐느의 추억》 - 장-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푸른 옷의 여인》 - 장-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공화국》 - 오노레 도미에





《오르페우스》 - 귀스타브 모로




《이삭줍기》 - 장-프랑스와 밀레





《만종》 - 장-프랑스와 밀레





《폭풍이 지나간 뒤의 에트르타 벼랑》 - 귀스타브 쿠르베




《화실》 - 귀스타브 쿠르베




《부상자》 - 귀스타브 쿠르베





그림출처
/ 아름다운 미술관

작성자=susyya (옮겨옴)

'행복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계(비발디)  (0) 2008.02.03
하모니카 연주  (0) 2008.02.03
거위의 꿈  (0) 2008.01.28
Mariah Carey/without you  (0) 2008.01.27
무서운 경고  (0) 2008.01.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