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 중성지방

"한국인에게 유난히 높은 중성지방 콜레스테롤만큼 위험하다"

○ 밥은 탄수화물 덩어리다. 밥이 입과 식도, 위를 지나 소장에서 포도당 형태로

흡수돼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포도당은 우리 몸이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 특히 신경계를 관장하는 중요한 기관인 뇌는 오직 포도당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혈액속에서 산소를 실어 나르는 적혈구도 마찬가지다. 혈액속 포도당은 말초조직

으로 보내져 몸을 움직이고 숨을 쉬는 등 몸의 활동에 쓰인다.

혈액속의 포도당을 다 쓰지 못하고 남은 경우가 있다. 그러면 몸은 나중에 꺼내

쓰기 위해 일종의 '단기적금'을 들어 둔다. '인슐린'이란 호로몬이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바꿔 간이나 근육 속에 저장한다. 하지만 간과 근육에 저장할 수

있는 글리코겐의 양은 300~400g밖에 안된다. 저장하고도 남은 포도당은 버리지

않고 몸안의 지방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중성지방으로 바뀌어 저장된다.

이때문에 지방을 먹지 않아도 밥과 탄수화물이 많이 먹으면 '뱃살'이 늘어난다.

이 중성지방은 혈액속으로 쉽게 녹아나와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높인다.

○ 지글지글 구운 삽겹살, 지방은 가장 많은 에너지를 내는 원료다(1g당 9kcal)

육류속 지방은 몸 안에 들어와 일부는 에너지로 사용되지만, 나머지는 중성지방

형태로 저장된다. 사람 몸의 비축에너지의 75~80%가 중성지방이다.

이는 오래 굶을 때 등 비상사태 때 에너지원으로 쓰는 일종의 '장기적금'이다.

삽겹살의 지방은 위와 십이지장 등 을 거치면서 분해돼 소장에서 '지방산'형태로

흡수된다. 흡수된 지방산은 혈액속에서 3개씩 합쳐져 '중성지방'(triglyceride)

으로 바뀐다.

○ 이중 일부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남은 것들은 간으로 보내지거나 지방조직에

저장된다. 지방중에서 육류에 많은 포화지방은 견과류 등에 불포화 지방보다

중성지방으로 쉽게 바뀐다.

○ 간으로 보내진 지방은 물에 녹지 않아 물이주성분이 혈액속에 혼자 존재할 수

없기 때문 단백질로 '코팅'되며, 단백질은 혈액 속에서 지방을 옮기는 '배'의 역할을 함

가장 적은 배가 'HDL(고밀도 지단백)', 그 다음이 'LDL(저밀도 지단백)',

그리고 가장 큰배가 VLDL(초저밀도 지단백)'이다.

'콜레스테롤'은 HDL과 LDL속에 주로 있고 중성지방는 대부분 가장 큰 배인 VLDL

속에 들어 있다.

○ 삽겹살과 단짝친구인 소주는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일부는 분해돼 몸 밖으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바뀌어 혈액속에 들어간다.

간에서 중성지방이 너무 만들어 지면 혈액속으로 지방을 운반할 배(지단백)이 없어

간에 그대로 쌓여 지방간이 된다. (조선일보, 2009년 5월 13일)

콜레스테롤은 괜찮은데… 앗차차 중성지방!
중성지방을 아시나요… '동맥경화' 유병룰 콜레스테롤의 2배

최근 회사원 장모(45)씨는 직장 내 건강검진에서 동맥경화가 의심된다는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장씨는 결과를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비록 약간 비만이지만 평소 꾸준히 관리한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었고 당뇨도 없었던 터라 장씨에겐 ‘동맥경화’라는 병은 의외였다.

장씨를 동맥경화로 몰고 간 주범은 의외로 콜레스테롤이 아닌 ‘중성지방’(中性脂肪) 이다. 중성지방은 물에 녹지 않는 지방으로 우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중성지방 수치가 높으면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을 많이 만들게 해 죽상 동맥경화증, 동맥경화, 당뇨 등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이와 같은 혈관 질환은 콜레스테롤뿐만 아니라 중성지방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콜레스테롤 수치만 보고 안심하는 것은 금물이다. 베일에 가려 있는 중성지방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본다.

환자 10명 중 8명 "중성지방 몰라요"

한 당뇨병 전문병원이 내원한 당뇨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성지방’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10명 중 8명이 중성지방의 실체를 아예 모르고 있다고 답했다. 이렇듯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중성지방의 무서움을 보여주는 조사결과는 많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심ㆍ뇌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고지혈증의 형태 중 중성지방에 의한 것이 17%로 콜레스테롤(8.2%)에 의한 경우보다 유병률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대한순환기학회는 “중성지방의 폐해를 제대로 알리기 위해 혈압, 혈당, 복부비만, 콜레스테롤과 함께 중성지방을 ‘심장 5적’으로 규정하고 중성지방 줄이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중성지방은 주로 고기, 생선, 기름 등의 음식을 통해 체내에 공급되는데 혈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뇌를 제외하고 모든 기관의 중요한 ‘동력’이 된다. 하지만 너무 많이 체내에 들어올 경우 주로 배에 있는 지방세포에 축적되며 양이 많아질수록 심ㆍ혈관에 부담을 주는 골치거리가 된다.

이러한 중성지방은 유독 서양인이나 다른 동양인에 비해 우리나라 사람에게서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서구인의 경우 중성지방의 평균치가 70㎎/㎗ 내외인 반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치는 약 120㎎/㎗ 정도이다. 미국에서 발표한 대사증후군 판단 기준치가 150㎎/㎗인데 우리나라 성인의 3분의 1이 이미 이 수치를 넘고 있다.

연세대 노화과학연구소 조홍근 교수는 “흔히 중성지방이 높은 사람은 혈관에 좋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낮고 협압은 높아 인슐린이 잘 작동하지 않는 대사증후군이 나타나기 쉽다” 며 “중성지방이 모여있는 뱃살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는 “중성지방 수치가 높으면 2차적으로 몸에 좋지않은 콜레스테롤인 LDL의 악성을 강화한다” 며 “유전적으로 중성지방을 대사하기 힘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고 그다지 비만이 아닌 경우도 중성지방 수치를 잊지 말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만 관리하고 심하면 약물로 다스려야

중성지방을 낮추는 방법은 크게 식생활 개선과 약물 요법으로 나뉜다. 전문의들은 “질병의 위험이 높지 않은 사람들은 일단 식생활 개선 요법을 해보고 반응이 없으면 약물 요법을 받을 수 있지만 이미 당뇨나 심장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게 좋다”고 진단한다.

중성지방을 줄이기 위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식단 조절이다. 고기류의 기름이 많은 부위는 물론 식물성 식용유, 버터가 많이 들어간 케이크, 페스트리, 치즈, 머핀 등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요리방법도 중요한데 재료를 튀기거나 볶기보다 찌거나 삶는 게 중성지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절주다. 중성지방의 많은 부분이 과음에서 비롯된다. 특히 곁들여 먹는 삼겹살, 튀김류 등 안주가 만드는 뱃살은 중성지방의 대표적인 ‘저장고’이다.

김 교수는 “식사요법을 계속해도 중성지방이 높거나 당뇨와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약물 요법을 고려해야 하는데 스타틴제제, 나이아신, 오메가3지방산 등이 효과있는 약제로 꼽힌다” 며 “오메가3의 경우 각종 건강식품에 담겨 유통되지만 함량이 적어 올바른 치료를 위해선 꼭 의사로부터 처방전을 받은 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대한 밥상 - 중성지방제로 >>

♦ 중성지방
우리나라 성인의 10명중 무려 8명이 중성지방에 대해 모르고 있다. 우리 몸 안의 지방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성지방은 LDL 즉, 나쁜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돕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의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나쁜 콜레스테롤을 ‘악당’에서 무시무시한 ‘악마’로 바꾼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성지방 수치가 높으면 심장병. 뇌졸중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당뇨병 환자라면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당뇨병 환자의 75%가 사망하는 심근경색의 최대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중성지방이기 때문이다.

▷ 중서지방은 아무래도 외국에 비해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좀 덜하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중성지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던 사이 우리나라는 중성지방 위험국으로 등극하고 말았다. 우리나라 성인 세 명 중 한 명꼴로 중성지방 수치가 1㎗당 150㎎ 이상으로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심장협회(AHA)가 정한 '요주의' 대상에 속한다. 중성지방 수치가 1㎗당 150~200㎎인 사람들은 먼저 식생활 개선요법에 들어가야 하는데, 지금부터라도 콜레스테롤 수치뿐 아니라 중성지방 수치에도 신경을 쓰는 것이 건강을 위해서 중요하다!

중성지방은 혈중 지질에 속하며 초밀도지단백(VLDL), 저밀도지단백(LDL), 고밀도 지단백(HDL)은 혈장지단백입니다. 혈중지질에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이 있습니다. 이것은 생화학적 방법으로 분리됩니다. 혈중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은 혈중 유리형으로(단독으로) 운반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신체에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혈중에 녹아 아포단백(apo-protein)과 결합하여 지단백을 형성해야 운반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혈중지질은 체내에서 운반이 가능한 지단백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원칙적으로 여성은 남자보다 고밀도지단백(HDL) 농도가 높은데 이것은 가임기 여성에서 많이 생성되는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고밀도지단백(HDL)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고밀도지단백(HDL)은 체내 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추는 역할이 있어 폐경기전 여성에서 심질환의 발생이 예방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중성지방의 농도는 정상적으로 약 50 ~ 250mg/dl의 범위이며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다릅니다. 사람들이 나이가 들고 뚱뚱해지면 그들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는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높은 중성지방 농도를 가집니다. 증가된 혈액 내 중성지방, 낮아진 고밀도지단백(HDL)은 종종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지단백(LDL)의 증가와 함께 일어나기도 합니다. 몇몇 임상연구에서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혈액 내 고농도의 중성지방 (고중성지방혈증)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증가된 중성지방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원인으로 직접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비정상적인 요인과 동반되며 그것의 발생속도를 증가 시킵니다 (네이버)

+ Recent posts